고객사에서 클라우드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사업을 하는데 상위기관 등에서 도입예정 제품의 성격을 분류해서 제출하라고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. 저희 와이드플러스원에게 문의를 주셔서 급히 여기저기 확인한 내용을 공유드렸고, 잘 처리가 되었습니다. 생각해보니 다른 고객사분들도 필요하겠다 싶어서 공유드립니다.
클라우드의 경우 IaaS, SaaS, PaaS등의 용어가 있는데 실제 고객사 담당자분께서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처음 진행을 하게 되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당황하십니다. 보통 위에 있는 용어들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접근 방식용어입니다. 조금 정리해서 말씀드리면,
IaaS : Infra
=> Cloud 사업자가 가상화(Virtualization) 까지만 제공 (사용자가 OS, Web, WAS, DB 선택하여 사용)
PaaS : Platfrom
=> Cloud 사업자가 OS, Middleware, 비지얼스튜디오와 같이 개발 환경 까지 제공 (내가 원하는 환경이 아닌 cloud 사업자의 플렛폼을 사용해야만 됨)
SaaS : Software
=> Cloud 사업자가 office 365와 같은 Application 까지 제공
위에 문의주신 고객사의 서비스내용은 클라우드 업체에서 VM만 제공해주고 솔루션 업체가 OS, WEB, WAS, DB, 솔루션을 전부 설치할 것이기때문에 IaaS 가 맞다라고 가이드 해드렸습니다. 아직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되는 상황입니다. 다들 코로나19를 조심하시기 바랍니다.
#국민덕분에